닫기

- 한국영상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닫기

논문검색
HOME  •  학술지논문  •  논문검색

한국영상학회논문지, Vol.22 no.2 (2024)
pp.5~19

DOI : 10.14728/KCP.2024.22.02.005

- ‘격물치지(格物致知)’와 가상성 - ‘사유의 이미지’와 VR을 중심으로 -

김정한

(서울대학교 서양화과 교수)

본 연구는 미래의 VR 매체 환경이 물질세계와 비물질세계를 횡단하여 ‘사유의 이미지’의 장이 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의식에 서 비롯됐다. 이 문제를 연구하는데 있어, 주희(朱熹)의 ‘격물치지’개념과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성학십도에 담긴 성리학적 우주관과 심성론에서 영감을 얻었다. 물질-비물질, 주체-객체, 개별-보편, 몸-마음과 같은 과거의 이분법적 세계관에 대한 극복은 21세기 과학, 철학, 예술의 중요한 공통점이다, 신유물론(신사물론, 신물질주의), 정동이론, 인류세, 체화된 인지, 뇌과 학과 인공지능 등 최근의 다양한 논의들 또한 이러한 문제의식의 연장선 상에 있다. 본 연구자는 현재 기술 수준의 VR의 가 능성과 한계를 검토하고 이를 새로운 잠재태와 실재적 가능태를 매개하여 사유할 수 있는 장치로써의 가능성을 탐구하여 VR 의 미래를 제언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격물’ 개념의 현대적 재해석과 VR의 가상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해, 실재와 가 상을 횡단하는 ‘사유의 이미지’의 장을 새롭게 제시하고자 한다. VR을 통해 철학, 과학, 예술의 평면들을 횡단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제기히고, 주희와 퇴계의 ‘격물치지’와 들뢰즈의 ‘사유의 이미지’ 개념을 중심으로 이 문제를 이론적으로 검토한 다. 이 탐구과정에서 ‘운동성(motility)’과 ‘데이터역(datasphere)’ 그리고 행위주체성(agency)의 세 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연구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VR에서 운동성과 행위주체성에 있어 그 자유도가 극대화되고 생성적 데이터역을 기반으로 한 물질과 비물질 사이의 가상성(잠재성)의 세계가 구현될 수 있다면, 이러한 미래의 VR 매체 환경은 우리에게 새로운 사유의 이미지의 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Gyukmulchizhi(Gewuzhizhi,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and Virtuality - Focused on the ‘Image of Thought’ and VR

Kim, Jeong Han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for virtual reality (VR) perceptual environments to transcend the boundaries between material and immaterial realms, drawing inspiration from the philosophical insights of 'Gyukmulchizhi' (Gewuzhizhi,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by Zhu Xi, a 12th-century Chinese Neo-Confucianist, and 'Seonghaksipdo'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by Toegye YI Hwang, a 16th-century Korean Neo-Confucianist. Central to our investigation is examining how VR can address historical such dichotomies as the material-immaterial, subject-object, individual-universal, and body-mind types, aligning with contemporary interdisciplinary dialogues in science, philosophy, and art. By situating our inquiry within the context of recent discussions in new materialism, affect theory, the Anthropocene, embodied cognition, neurosci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e aim to chart a course for the future of VR technology. Through a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capabilities and limitations of VR, we seek to re-conceptualize its role as a tool for the 'image of thought.' The study interrogates as to whether VR can transcend disciplinary boundaries to intersect with philosophy, science, and art, theoretically examining the implications of such convergences. Central to this exploration are the concepts of 'motility,' 'datasphere,' and 'agency,' which serve as key drivers in shaping the potential of VR as a medium for cognitive engagement. In conclusion, we can pave the way for a new image of thought by criticizing the generative potential of the 'datasphere' and maximizing user motility and agency within VR environments.

다운로드 리스트